Vestigium
신기 효과 (novelty effect) 본문
글을 읽다가 이런 표현을 보았다.
직관만 믿고 까불었다가 망한 PM의 사연
안녕하세요, 검색 프로덕트 매니저 Demi예요.
medium.com
새로운 기능에 대한 신기 효과로 배포 직후 초반에 등록 수가 튀었다가 현재는 지표가 수렴된 상태예요. 이전과 비교하면 확실히 키워드 알림 등록 수가 성장하였어요.
신기 효과? 내가 아는 그 '신기하다'의 의미가 맞나?
검색을 해보니 심리학에서 '신기 효과(novelty effect)'라고 부르는 이론은 인간의 주의집중이 낯선 대상을 인식하게 되었을 때 더 강해짐을 설명한다고 한다. 진짜 신기한거였네
다음에 AB 테스트 내용 분석 리포트를 작성할 때에는 "테스트 내용이 전면 적용되면서 초반 지표가 상승했다"는 표현 말고 "신기 효과가 발생해서 지표가 상승했다"라고 표현해야겠다. 오늘의 주저리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랫폼에 따라 유저의 행동은 바뀐다 (0) | 2022.09.03 |
---|